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은 물속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1908년, 강 오염에 관한 왕립 위원회와 하수 처리에 관한 왕립 위원회는 BOD5를 강의 유기적 수질 오염 검사법으로 선정했다. BOD는 수질 오염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측정 방법에는 희석법, 압력법, 바이오센서, 형광법, 폴라로그래피법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하천 수질 등급을 BOD, COD, DO 등을 기준으로 6단계로 나누어 관리하고, 환경 기준 및 배출 기준 설정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혐기소화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 혐기소화 - 분해
분해는 유기물이 자가 융해, 부패 등을 거쳐 작고 단순한 요소로 나뉘는 자연적 과정으로, 동물은 박테리아, 곰팡이 등에 의해 다섯 단계를 거쳐 분해되고, 식물은 용출, 파편화, 화학적 변화를 거치며, 식품은 미생물 오염과 부패로 분해되는데, 법의학적 활용 외에 사회적으로 타락의 은유로도 쓰인다. - 수질 지표 - 마이크로시스틴
마이크로시스틴은 시아노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로, 간독성을 유발하여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식수 오염과 농작물 전이 등을 통해 노출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 수질 지표 - 녹조
녹조는 하천이나 호수에서 영양분 과다, 수온 상승, 일조량 증가 등의 조건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예방을 위해 영양염류 유입 감소, 유속 유지, 수온 조절이 중요하며, 발생 시 응급 처치로 황산 구리나 황토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 환경과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과학 - 소수성
소수성은 물을 기피하는 성질로,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미셀 형성, 단백질 구조 형성, 초소수성 현상 등과 관련되어 자가 세척, 랩온어칩, 제약 분야 등에 응용된다.
|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 |
|---|---|
| 개요 | |
| 명칭 |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 |
| 영어 명칭 |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
| 설명 | 수중 유기 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 |
| 단위 | mg/L 또는 ppm (백만분율) |
| 측정 | |
| 측정 방법 | 일정량의 시료를 밀폐된 용기에 담아 일정 온도(일반적으로 20℃)에서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5일) 동안 배양한 후 용존 산소량의 감소량을 측정 |
| 측정 시간 | 일반적으로 5일 (BOD5) |
| 측정 온도 | 일반적으로 20℃ |
| 영향 요인 | |
| 유기 물질 농도 | 유기 물질 농도가 높을수록 BOD 값 증가 |
| 미생물 활성 | 미생물 활성이 높을수록 BOD 값 증가 |
| 온도 | 온도가 높을수록 BOD 값 증가 (미생물 활성 증가) |
| pH | pH 변화에 따라 미생물 활성이 영향을 받아 BOD 값 변동 |
| 영양분 | 질소, 인 등의 영양분이 충분하면 미생물 생장 촉진, BOD 값 증가 |
| 활용 | |
| 수질 오염 지표 | 수질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 |
| 오염원 파악 | 특정 지역의 BOD 값을 측정하여 오염원 추적 가능 |
| 하수 처리 효율 평가 | 하수 처리 과정 전후의 BOD 값 변화를 통해 처리 효율 평가 가능 |
| 참고 | |
| 관련 지표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총 유기 탄소 (TOC) |
2. 역사
1865년에 설립된 강 오염에 관한 왕립 위원회와 1898년에 설립된 하수 처리에 관한 왕립 위원회는 1908년 BOD5를 강물의 유기적 수질 오염을 측정하는 확정적인 검사법으로 선정하였다.[8] 5일은 수원지에서 하구까지 영국의 강물이 이동하는 데 걸리는 최대 시간으로 여겨져 적절한 검사 기간으로 선택되었다. 왕립 위원회는 여섯 번째 보고서에서 물 100만 분의 15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8] 아홉 번째 보고서에서는 이 기준을 수정하여, 100,000당 2–0 부분의 용존 산소를 소모하는 폐수는 간단한 계산을 통해 0.4 부분을 초과하여 소모하지 않으려면 최소 8배의 강물로 희석해야 하며, 폐수가 100,000당 3–0 부분을 초과하는 부유 고형물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8] 이는 1970년대까지 영국의 하수 처리 배출수 품질 척도로 사용된 20:30 (BOD:부유 고형물) + 완전한 질산화 표준의 기초가 되었다.
미국은 하수 처리 규정에 BOD 배출 제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2차 하수 처리는 하수에서 측정된 BOD의 85%를 제거하고, 30일 평균 30 mg/L 미만, 7일 평균 45 mg/L 미만의 배출수 BOD 농도를 생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차 처리와 동등한 처리"를 BOD의 65%를 제거하고 30일 평균 45 mg/L 미만, 7일 평균 65 mg/L 미만의 배출수 BOD 농도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9]
BOD 측정법은 산업 혁명으로 인해 수질 오염 문제에 직면했던 영국에서 발안되었다고 전해진다.
2. 1. 한국에서의 BOD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으로부터 도입되어 법령이나 기준에 채택되었다.[1] 현재는 수질 환경 수준의 지표로서 환경 기준에 사용되는 것을 비롯하여 배수의 성상이나 수처리 장치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JIS 규격, 수질 오탁 방지법 및 하수도법, 건축 기준법 등에 등장하고 있다.환경 기준과 배출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각종 기준이 존재한다.
| 기준 종류 | 내용 |
|---|---|
| 환경 기준 | 하천의 수질 오탁에 관한 환경 기준 항목으로, 생활 환경 보전에 관한 항목으로서 하천에 대한 기준이 해당 하천의 이용 형태 등을 고려한 유형별로 정해져 있다. 각 유형과 BOD의 환경 기준치 관계는 AA형이 1 mg/L 이하, A형이 2 mg/L 이하, B형이 3 mg/L 이하, C형이 5 mg/L 이하, D형이 8 mg/L 이하, E형이 10 mg/L 이하이다. |
| 배출 기준 | 사업장 폐수 (해역 및 호소 이외로의 배출수)에 대해, BOD는 160 mg/L 이하로 정해져 있다. |
| 기타 | 가정이나 공장에서의 배출량에, 그 BOD 농도를 곱한 것을 BOD 부하량이라고 한다. 단위는 질량 또는 시간당 질량으로 표시된다. 하수 처리장 등 수처리 시설을 설계, 운전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
BOD는 물속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모방하여 측정한다. 먼저 측정 대상 시료의 용존산소량(DO)을 측정하고, 미생물을 주입한 후 20°C의 어두운 곳에서 5일 동안 보관한다. 5일 후 다시 DO를 측정하여 처음 DO 값에서 뺀 값이 BOD5가 된다.[2]
3. 측정 방법
BOD 측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압력법은 시료 희석, 종균, 블랭크 시료가 필요 없고, BOD 값을 직접 읽을 수 있으며, 배양 시간 동안 BOD 값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 JIS 규격 K0102-21에 규정된 표준 희석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시료 전처리(온도 조절, 중화, 환원, 탈기, 질산화 억제제 첨가)
2. 이전 측정값이나 COD, TOC 값으로 BOD 값을 추정하여 희석 배수 결정 (4 - 5단계)
3. 희석수 또는 종균 희석수로 희석하여 첫 번째 희석 시료 조제 (추정 농도가 낮고 DO가 충분하면 무희석)
4. 2 - 4개의 배양 병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희석 시료를 채워 밀봉
5. 다음 희석 배수의 희석 시료를 조제하고, 병에 담는 과정 반복
6. 15분 후, 배양 병 중 1개에서 배양 전 DO 측정
7. 20±1 ℃의 차광된 항온기 또는 항온조 내에서 5일간 배양
8. 배양 후 DO 측정, 배양 전 DO의 40 - 70%인 값 선택
9. 배양 전 DO에서 선택한 값을 빼고 (종균한 경우 보정) 희석 배수를 곱하여 BOD5 계산
BOD 측정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3. 1. 종류
BOD는 측정 기간 및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BOD는 특정 물질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 하에서의 시험 결과이므로, 일정한 조작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측정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2]
각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공정법은 대개 유사하지만, 그 측정 목적, 행정 판단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배양일수는, 하천의 수질 상황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5일 BOD가 채택되지만, 주 5일제를 전제로 채취 시기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7일 BOD도 채택되고 있다.
이 외에도, 생물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대부분을 측정하거나, 물질의 생분해성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10, 14, 20일) BOD와, 생물 분해 가능한 물질의 전량을 측정하기 위한 대체 지표로서 100일 BOD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3. 2. 계산
BOD는 초기 DO에서 최종 DO를 빼서 계산한다.[32]
A하천과 B하천이 합류하는 경우, 합류 후 하천의 BOD()는 각 하천의 유량과 BOD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A하천의 유량을 , BOD를 라 하고, B하천의 유량을 , BOD를 라 하면, 합류 후 BOD는 다음과 같다.[33]
:
t일 후 잔존하는 BOD(, mg/L)는 최초 BOD()와 탈산소 계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32]
:
t일 동안 소비된 BOD(Y, mg/L)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32]
:
BOD5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4. 한계
BOD 측정법은 재현성이 낮아, 같은 실험을 같은 방법으로 수행해도 약 10~20%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34] 이는 실험 결과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또한, 산업 폐수, 무단으로 버려진 의약품의 항생제, 세정제, 하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 등은 BOD 측정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하여 측정값이 실제보다 낮게 나올 수 있다.[34] 독성 물질이 포함된 폐수의 경우, BOD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5. 대한민국의 하천 수질 등급
대한민국에서 하천의 수질 등급은 BOD, COD, DO 등 다양한 지표를 기준으로 판정하고 있다.[35] BOD 기준 하천 수질 등급은 Ia(매우 좋음)부터 VI(매우 나쁨)까지 6단계로 나뉜다. 각 등급별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 등급 | 수소 이온 농도(pH) | BOD(ppm) | COD(ppm) | 총 유기 탄소량(TOC) (mg/L) |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
|---|---|---|---|---|---|
| Ia (매우 좋음) | 6.5 ~ 8.5 | 1 이하 | 2 이하 | 2 이하 | 용존산소가 풍부하고 오염물질이 없는 청정상태의 생태계로 여과·살균 등 간단한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Ib (좋음) | 6.5 ~ 8.5 | 2 이하 | 4 이하 | 3 이하 |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고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에 근접한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II (약간 좋음) | 6.5 ~ 8.5 | 3 이하 | 5 이하 | 4 이하 | 약간의 오염물질은 있으나 용존산소가 많은 상태의 다소 좋은 생태계로 여과·침전·살균 등 일반적인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III (보통) | 6.5 ~ 8.5 | 5 이하 | 7 이하 | 5 이하 | 보통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일반 생태계로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일반적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IV (약간 나쁨) | 6.0 ~ 8.5 | 8 이하 | 9 이하 | 6 이하 | 상당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농업용수로 사용하거나 여과, 침전, 활성탄 투입, 살균 등 고도의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V (나쁨) | 6.0 ~ 8.5 | 10 이하 | 11 이하 | 8 이하 | 다량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용존산소가 소모되는 생태계로 산책 등 국민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활성탄 투입, 역삼투압 공법 등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음. |
| VI (매우 나쁨) | 10 초과 | 11 초과 | 8 초과 |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움. |
6. 기타 측정 방법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측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888년 빈클러(Winkler)가 발표한 용존 산소 분석 절차는[11] 표면수 분석의 핵심이 되었으며, 산소 전극 측정기 보정에 사용되는 두 가지 기술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헨리의 법칙에 기반한다.
BOD 측정을 위한 국제 표준 방법은 없지만, 널리 인정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압력법: 압력 센서가 있는 밀폐 용기에 시료를 보관하고, 이산화 탄소 흡수제(수산화 리튬)를 넣어 압력 변화를 측정한다.[11] 산소 소비와 이산화 탄소 흡수로 압력이 감소하면, 이를 통해 산소 소비량을 계산한다. 시료 희석 등이 필요 없고, BOD 값을 직접 읽으며, 배양 중 BOD 값을 지속적으로 볼 수 있다.[11]
- 바이오센서: 생물학적, 물리화학적 검출 요소를 결합한 장치로 BOD를 간접 측정한다. ''Trichosporon cutaneum'', ''Bacillus cereus'' 등의 미생물을 사용하며,[13] 취급, 준비가 쉽고 장치 비용이 저렴하나,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작동 길이가 제한적이며 품질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다.
- 형광: 광활성 화학 물질의 발광 현상과 산소에 의한 발광 억제를 이용, 슈턴-볼머(Stern–Volmer) 방정식을 통해 용존 산소 농도를 계산하며,[17] 정확도와 재현성이 높다.[18]
- 폴라로그래피법: 1950년대 개발된 방법으로,[19] 금속 전극 존재 하 산소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다. 산소 투과성 막을 통해 확산된 기체 농도를 폴라로그래피 전극, 갈바니 전극으로 측정하며, ± 0.1 mg/L까지 감지 가능하다.[19]
6. 1. 희석법
미국 환경 보호청(EPA)에서 인정하고 "수질 및 폐수 검사를 위한 표준 방법"에서 5210B 방법으로 명시된 표준 방법에 따르면, BOD5를 얻기 위해 시료의 용존 산소(DO) 농도를 배양 기간 전후에 측정하고 시료에 해당하는 희석 계수로 적절하게 조정해야 한다.[12] 이 분석은 300mL 배양 병을 사용하여 수행하며, 이 병에는 완충 희석수에 종균 미생물을 투여하고 광합성을 통한 DO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20°C의 암실에 5일 동안 보관한다.[12]전통적으로 유리로 만들어진 병은 시료 간에 세척 및 헹굼이 필요했지만, SM 5210B 승인을 받은 일회용 플라스틱 BOD 병을 사용하여 이 단계를 없앨 수 있다. BOD 시료의 다양한 희석 외에도, 이 절차에는 희석수 블랭크, 글루코스 글루탐산 (GGA) 대조군 및 종균 대조군이 필요하다. 희석수 블랭크는 다른 시료를 희석하는 데 사용되는 희석수의 품질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희석수의 불순물이 결과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 과정이 필요하다. GGA 대조군은 종균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용액이며, 권장 BOD5 농도는 198mg/L ± 30.5mg/L이다.
탄소성 BOD (cBOD)를 측정하기 위해, 질산화 억제제가 희석수를 시료에 추가한 후 첨가된다. 이 억제제는 질소성 BOD(nBOD)를 공급하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산화를 방해한다. BOD5 검사를 수행할 때, 질소성 요구량은 유기물로부터의 산소 요구량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cBOD만을 측정한다. 이는 nBOD가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반면, cBOD는 유기 분자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이다.
BOD5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무종균:
::
- 유종균:
::
여기서:
| 기호 | 설명 |
|---|---|
| 제조 후 희석된 용액의 용존 산소(DO) (mg/L) | |
| 5일 배양 후 희석된 용액의 DO (mg/L) | |
| 소수 희석 계수 | |
| 제조 후 희석된 종균 시료의 DO (mg/L) | |
| 5일 배양 후 희석된 종균 시료의 DO (mg/L) | |
| 희석 용액 내의 종균 부피와 종균 검사 내의 종균 부피의 비율 |
일본 JIS 규격 K0102-21에 규정된 표준 희석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시료를 전처리(온도 조절, 중화, 환원, 탈기, 질산화 억제제 첨가)한다.
# BOD 값을, 이전 측정값이나 COD・TOC 값에서 추정하여 희석 배수를 결정한다(4 - 5단계).
# 희석수 또는 종균 희석수로 희석하여 첫 번째 희석 시료를 조제한다(추정 농도가 낮고 DO가 충분하다면 무희석).
# 2 - 4개의 배양 병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희석 시료를 채워 밀봉한다.
# 다음 희석 배수의 희석 시료를 조제하고, 마찬가지로 병에 담는 것을 반복한다.
# 15분 후, 배양 병 중 1개에서 배양 전 DO를 측정한다.
# 20±1 ℃의 차광된 항온기 또는 항온조 내에서 5일간 배양한다.
# 배양 후 DO를 측정하여, 배양 전 DO에 대해 40 - 70%인 것을 선택한다.
# 배양 전 DO에서 선택한 값을 빼고(종균한 경우에는 보정) 희석 배수를 곱하여 BOD5를 구한다.
6. 2. 압력법
시료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밀폐 용기에 보관된다.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는 물질(일반적으로 수산화 리튬)이 시료 수준 위에 용기에 추가된다. 시료는 희석법과 동일한 조건으로 보관된다. 산소가 소비되고, 암모니아 산화가 억제되므로 이산화 탄소가 방출된다. 이산화 탄소가 흡수되기 때문에 총 기체의 양, 즉 압력이 감소한다. 압력 강하로부터 센서 전자 장치는 소비된 산소의 양을 계산하여 표시한다.[11]압력법은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설치한 밀폐 용기를 사용하며, 압력 변화로부터 산소 소비를 측정하므로, 중간 경과로부터 분해 속도를 알 수도 있다는 장점이 희석법에 비해 존재한다.[11]
- 단순성: 시료 희석 불필요, 종균 불필요, 블랭크 시료 불필요.
- BOD 값의 직접 판독.
- 현재 배양 시간에서의 BOD 값의 지속적인 표시.
6. 3. 바이오센서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구성 요소와 물리화학적 검출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분석물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효소는 바이오센서 제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생물학적 감지 요소이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효소 정제 방법으로 인해 적용에 제한이 있었다. 미생물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이상적인 대안을 제공한다.[13]BOD 평가에 유용한 많은 미생물은 순수 배양 상태로 유지하기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배양 및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미생물을 사용하면 취급, 준비가 용이하고 장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Trichosporon cutaneum'', ''Bacillus cereus'', ''Klebsiella oxytoca'', ''Pseudomonas sp.'' 등과 같은 순수 배양체를 사용하여 BOD 바이오센서를 제작했다. 한편, 활성 슬러지 또는 두세 종의 박테리아 혼합물을 다양한 막에 고정화하여 BOD 바이오센서를 제작하기도 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막은 폴리비닐 알코올, 다공성 친수성 막 등이었다.[14]
다양한 산업 폐수에서 BOD 분석에 종자 물질로 사용할 선택된 미생물에 대한 사전 테스트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정의된 미생물 컨소시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식화된 컨소시엄은 하전 나일론 막에 고정화될 수 있다. 하전 나일론 막은 음전하를 띤 박테리아 세포와 양전하를 띤 나일론 막 사이의 특정한 결합으로 인해 미생물 고정화에 적합하다. 다른 막에 비해 나일론 막은 흡착 및 포획이라는 이중 결합으로 인해 고정화된 막이 더욱 안정적이다. 이러한 특정 미생물 컨소시엄 기반 BOD 분석 장치는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광범위한 산업 폐수에서 오염 물질의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널리 사용될 수 있다.[14]
바이오센서는 빠르고(보통 30분 미만) 결정되는 BOD 대체물과 해당 교정 곡선 방법을 통해 BOD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이오센서는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유지보수 비용, 재활성화 필요성으로 인한 제한된 작동 길이, 그리고 폐수 처리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변화하는 품질 특성에 반응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생분해성 유기물이 막으로 확산되는 과정과 서로 다른 미생물 종에 의한 상이한 반응은 결과의 재현성에 문제를 야기하며, BOD 대체물을 실제 BOD로 변환하기 위한 교정 함수와 관련된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6. 4. 형광
광활성 화학 물질의 발광 현상과 산소에 의한 발광 억제를 기반으로 하는 전극이 개발되었다. 이 발광 억제 광물리 기작은 용액 내 용존 산소에 대한 슈턴-볼머(Stern–Volmer) 방정식으로 설명된다.[17]:
- : 산소가 있을 때의 발광
- : 산소가 없을 때의 발광
- : 산소 억제를 위한 슈턴-볼머 상수
[O2] : 용존 산소 농도
발광 억제를 통한 산소 농도 결정은 광범위한 산소 농도 범위에서 선형 응답을 보이며, 정확도와 재현성이 매우 우수하다.[18]
6. 5. 폴라로그래피법
1950년대에 서로 다른 금속 전극 존재 하에서 산소의 산화-환원 반응(redox) 화학을 이용하는 분석 기기가 개발되었다.[19] 이 산화-환원 전극은 산소 투과성 막을 사용하여 기체가 전기화학 전지로 확산되도록 하고, 그 농도는 폴라로그래피 전극 또는 갈바니 전극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 분석 방법은 용존 산소 농도를 ± 0.1 mg/L까지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민감하고 정확하다. 이 막 전극의 산화-환원 전극 보정에는 여전히 헨리의 법칙 표 또는 용존 산소 측정을 위한 윙클러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19]참조
[1]
서적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McGraw-Hill
[2]
서적
Limn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83
[3]
서적
Ecology of Inland Waters and Estuaries
https://archive.org/[...]
Van Nostrand Reinhold
1961
[4]
서적
Report of the Commissioners appointed in 1898 to inquire and report what methods of treating and disposing of sewage (including any liquid from any factory or manufacturing process) may properly be adopted. Standards and Tests for Sewage and Sewage Effluents Discharging into Rivers and Streams
https://archive.org/[...]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12
[5]
문서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Sewag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46
[6]
문서
Civil Engineering Handbook
McGraw-Hill
1959
[7]
문서
Chemistry for Sanitary Engineers
McGraw-Hill
1967
[8]
문서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ers Appointed to Inquire and Report What Methods of Treating and Disposing of Sewage
https://archive.org/[...]
1912
[9]
간행물
Secondary Treatment Regulation.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10]
서적
The United Nations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6: Water and Jobs, chapter 2: The Global Perspective on Water
UNESCO
2016
[11]
논문
Die zur Bestimmung des in Wasser gelösten Sauerstoffes
1888
[12]
서적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3]
웹사이트
Microbial biosensors
http://www.cbs.umn.e[...]
Analytica Chimica Acta 568 (2006) 200–210
2014-09-16
[14]
웹사이트
Immobilized Microbial Consortium Useful for Rapid and Reliable BOD Estimation
http://www.igib.res.[...]
CSIR-Institute of Genomics & Integrative Biology (IGIB)
2004
[15]
특허
Process for directly measuring multiple biodegradabilities
[16]
논문
International cross-validation of a BOD5 surrogate
2014
[17]
논문
Luminescent Nafion Membranes Dyed with Ruthenium(II) Complexes as Sensing Materials for Dissolved Oxygen.
1999
[18]
논문
Evaluation of a new optical sensor for measuring dissolved oxygen by comparison with standard analytical methods.
2008
[19]
논문
Polarometric determination of oxygen.
1950
[20]
논문
Applying Kohonen Self-Organizing Map as a Software Sensor to Predict Biochemical Oxygen Demand
https://www.jstor.or[...]
2021-09-03
[21]
논문
Understanding dissolved organic matter dynamics in urban catchments: insights from in situ fluorescence sensor technology
2018
[22]
논문
In situ tryptophan-like fluorometers: assessing turbidity and temperature effects for freshwater applications
2015
[23]
논문
Rapid and direct determination of wastewater BOD values using a fluorescence technique
1997-08-01
[24]
서적
2015 IEEE Sensors
2015-11
[25]
논문
The in situ bacterial production of fluorescent organic matter; an investigation at a species level
2017-11-15
[26]
논문
Polarometric determination of oxygen.
1950
[27]
뉴스
Technically Speaking: dissolved oxygen control
http://wwtonline.co.[...]
2017-09-28
[28]
뉴스
Repair or Rethink?
http://www.tpomag.co[...]
2017-09-28
[29]
서적
Water and Waste-Water Technology
John Wiley & Sons
[30]
웹사이트
용어해설 :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http://www.city.yoko[...]
2018-02-14
[31]
웹인용
물의 오염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https://www.water.or[...]
2023-02-18
[32]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null
한솔아카데미
2017-08-22
[33]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
[34]
서적
Water and Waste-Water Technolog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35]
웹인용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 환경기준(제2조 관련) [시행 2022. 12. 8.] [대통령령 제33023호, 2022. 12. 6., 타법개정]
https://www.law.go.k[...]
2023-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